>
허허 오랜만일세~ 이곳은 일반적이지 않은 심오한 주제를 다루는 미지의 공간이라네~ 필자도 언제 어디서 부터 시작된것인지 몰라~ 그냥 존재를 기록할 뿐이라네 Just Post !! 오늘은 천간과 지지에 대해서 정리해 볼 것이야. 천간(天干)은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지지(地支)는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이 둘을 통칭하는 말로 간지(干支)라고 한다네 자네 핸섬하군~ 간지나게 말이야~ 이 간지로 쓰는 아래와 같은 통상적인 수리가 있어~ 동양철학을 공부하다보면 자연수, 선천수, 후천수 라는 말을 어디서 들어봤을것이야 우리 같이 한번 정리해보도록 해봅세~ 자연수? 수학시간에 배웠던것 같은 생각이 떠오르지 않나. 역학에서도 똑같다네. 천간과 지지를 순서대로 자연스럽게 셀 수 있는 수라네 천간 : 갑을병정... 순서..
잠시 우주여행을 떠나 돌아왔다네. 이제 다시 족적을 남기도록 하겠소~ 왜 갑자기 이런 말투가 되었는지는 모르겄소 하지만 더 이상 묻지마소 그럼 시작한다네. 동양철학의 세계관을 구축하는 가장 큰 뼈대가 되는 이론을 소개할 것이야. 도대체 이걸 어떤 인간이 만든것인지... 흔히 용마하도(龍馬河圖) , 신구락서(神龜洛書)라 하여.. 태호복희씨가 용마 그림을 보고 하도를 만들고 후대에 거북이 등에 새겨진 문양을 보고 낙서를 나와 이것을 기초로 역을 세웠다는 그림이 있어~ 필자는 태호복희씨가 그냥 인간이 아니었을거라고 생각하네. 그 고대시대는 너무나 미스테리라서 말이지. 랩틸리언 그런거 있자나? 필자는 그런게 실제로 존재했었다고 보고 있어. 이 그림 두장을 보고 느낌오지 않나? 지금 시대의 인간들의 사고 영역에서..
구성기학 - 구성의 상징적 의미 구성은 북두구성 - 9 개의 별에 대응합니다. 구성이 본래 거주하는 궁의 의미와도 대응합니다. 구성의 상징적 의미 4손 9 리 2곤 3진 5中 7태 8간 1감 6건 일백수성 - 감궁, 비밀,성욕,암흑,예감,중남, 곤란,함정, 우울, 자손, 하인, 사색, 철학, 돼지 등 이흑토성 - 곤궁, 안정, 인자함, 자상함, 어머니, 小 , 소매상인, 자영업, 부동산(소규모 땅) 등 삼벽목성 - 진궁, 발전, 패기, 신속, 놀라움, 장남, 천동,우레, 정보통신, 전기, 박수, 악기연주,노래, 허풍,사기 등 사록목성 - 손궁, 교류, 신용, 장녀, 신뢰, 믿음, 자격, 완성, 여행, 바람, 풍파, 사고, 갈대, 취직 등 오황토성 - 중궁, 정체, 제왕, 지배자, 권위, 고집, 아집, ..
년도년도를 60갑자로 변환 - 자바스크립트 title ◀ yyyy ▶ HTML title ◀ yyyy ▶ css생략. JavaScript (function(){ let titleEle = document.getElementById('title'); let dateEle = document.getElementById('tyear'); let sky10 =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let ground12 =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 let skyNum; // 천간 수 let groundNum; // 지지 수 setYearTitle = (skyNum,groundNum) => titleEle.t..
구성과 오행과의 관계 구성은 9개의 별로써 일백수성(一白水星), 이흑토성(二黑土星), 삼벽목성(三碧木星), 사록목성(四綠木星) 오황토성(五黃土星), 육백금성(六白金星), 칠적금성(七赤金星), 팔백토성(八白土星), 구자화성(九紫火星) 라고 명칭합니다. 1 白(하얀색) 수(水) 2 黑(검은색) 토(土) 3 碧(푸른색) 목(木) 4 綠(녹색) 목(木) 5 黃(황색) 토(土) 6 白(하얀색) 금(金) 7 赤(붉은색) 금(金) 8 白(하얀색) 토(土) 9 紫(자주색) 화(火) ( 이해를 돕기위해 자필로 그린건데,, 글씨가 좀 엉망이여도 봐주세요.ㅎㅎ) 목생화, 화생토, 토생금, 금생수, 수생목 예) 3벽목성이 9자화성을 생해줍니다. 3벽목성이 1백수성의 생을 받습니다. 목극토,토..
엑셀 VBA로 양력 달력만들기 안녕하세요. 엑셀 VBA 로 기본적인 양력 달력을 만드는법을 공유해드리겠습니다. 첨부한 파일은 이 달력입니다. (엑셀옵션에서 개발자도구 활성화시키고 Alt + F11 누르면 VBA 코드창이 뜹니다.) 보시면 A 라인에 달력의 숫자에 해당하는 주소값이 나열되있습니다. 그 주소를 참조해서 공휴일에 해당하는 숫자색상을 바꾸던지 숫자옆에 넣던지 아래에 넣던지 할수가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간단한 달력이지만 기본만 해도 생각보다 고려할 요소들이 있어서 소스가 꽤 길어졌습니다. 이 소스를 응용해서 더 멋진 달력을 만드실 수 있으실겁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JAVA로 구현한 양력 달력 네이버 달력이 1990년 1월부터 시작되는걸 참고. JAVA 양력 달력소스 import java.util.Scanner; // 양력 달력 class Cal01{ // 0, 1 , 2, 3 4 5 6 static char[] weeks = {'일','월','화','수','목','금','토'}; static int[][] days = {{ 31, 28, 31, 30, 31, 30, 31, 31, 30, 31, 30, 31 }, // 평년 { 31, 29, 31, 30, 31, 30, 31, 31, 30, 31, 30, 31 }}; // 윤년 // 윤년인지 계산 (윤년 1, 평년 0) static int isLeap(int year) { return (year % 4 == 0 &&..
구성기학 - 월명성 구하기, 년월반 기본작성법 사주명리나 구성학이나 절기력을 기준으로 씁니다. 그래서 전에 알려드린 年명성,본명성 구하는것도 같은년도라도 2월 3~5일 정도 걸리면 입춘이 지났는지 안지났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때문에 흔히 만세력이라고 하는 절기력을 참고해야됩니다. IT시대다 보니 컴퓨터 도움받는게 제일 빠릅니다만 방법정도는 아는것이 좋다고 봅니다. 월명성 구하기 월명성은 아래표를 이용해서 구하면 됩니다. 인월을 시작으로 음둔합니다. 음둔은 역행한다는 의미입니다. 자오묘유년을 보면 인월을 출발로 8 -> 7 - > 6 -> 5 식으로 가죠 년,본명성/월명성은 항상 음둔하지만, 일명성/시명성은 음둔일수도 있고 양둔일 수 도 있습니다. 인月 묘月 진月 사月 오月 미月 신月 유月 술月 ..
年명성/본명성을 구하는방법 타이틀 입력부분 1 - 일백수성(一白水星) 2 - 이흑토성(二黑土星) 3 - 삼벽목성(三碧木星) 4 - 사록목성(四綠木星) 5 - 오황토성(五黃土星) 6 - 육백금성(六白金星) 7 - 칠적금성(七赤金星) 8 - 팔백토성(八白土星) 9 - 구자화성(九紫火星) 9진법의 묘미 편의를 위해 수학기호를 써보겠습니다. mod 정수 a, b와 자연수 m에 대하여 a-b가 m의 배수 일 때 a≡b (mod m)으로 나타내며, a와 b는 법(modulo) m에 관하여 합동이라고 한다. 37 ≡ 1 mod(9) 라 하면 쉽게 (37-1) 이 9의 배수라는 애기입니다. 다른 말로는 37을 9로 나누면 나머지가 1이 남는다는 겁니다. 9진법 체계의 묘미인데, 9진법을 쓰게되면 3 + 7 ..
낙서와 구궁도 하도,낙서와 선천팔괘,후천팔괘,10천간12지지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구성학도 이러한 것을 베이스로 전개된다. 南 사 오 미 진 4흑목성 손 9자화성 리 2흑토성 곤 신 東 묘 3벽목성 진 5황토성 中 7적금성 태 유 西 인 8백토성 간 1백수성 감 6백금성 건 술 축 자 해 北 구궁도 구궁도는 구궁에 낙서수, 후천팔괘 등을 대입한 일종의 도면이다. 구성기학에서 각궁과 방위,12지지는 고정되있고 9성에 해당되는 별들만 운행하며 움직인다. 그 별들이 어느 위치에 가있느냐에 따라 해석이 들어가는 것이다. 간단히 말해 숫자의 움직임이다. 구궁이라 함은 9개의 방(공간)으로 이해하면 된다. 일단, 구궁에 낙서수를 대입해서 보자. 4 9 2 3 5 7 8 1 6 구궁도 - 낙서에 ..
구성학의 기원 구성학의 기원에 대해서는 아주 말이 많고, 분명하지가 않다. 일단 현재는 일본에서 수입해서 배우고 있다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대해 여러가지 주장들이 있다. 일제의 식민지배하에 온갖 도술을 금지시켰고, 구성기학을 우리나라에서 훔쳐가면서 맥이 끊켜버렸는데.. 그중 구성기학의 비술로써 내려오던 말뚝비술을 사용. 즉, 우리나라의 산에다가 말뚝을 박아 나라에 망조가 들도록 풍수를 조작했다는것이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602년 백제의 승려 관록이 역본, 천문지리서,둔갑방술을 일본에 전수해줬다고 기록되어있다. 이중에서 둔갑방술이 구성기학의 원조 라는 주장도 있다. 혹자는 기문둔갑과 비슷하다고 해서 기문둔갑의 짜집기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일설에 따르면 구성기학은 본래는 상당한 비술들이 함께 전래되어..